어느 해 여름 바이칼 호를 찾았을 때, '정말 바이칼을 사
랑하는 표정' 을 지닌 그는 여행업자라기보다는 오히려 선
비풍에 가까웠다. 버스 안에서 그는 러시아의 여가수인
알라 푸가초바Alla pugatcheva가 부른 '백만 송이 장미' 라는
노래에 대하여 장황하리만치 자세하게 설명을 해주었다.
그 재용은 미모의 유명한 여배우를 짝사랑하던 여떤 가난
한 무명 화가가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팔아 백만 송이 장
미를 사서 그녀가 묵고 있는 호텔 광장에 뿌려 사랑을 고
백했으나 결국 그 마음을 사로잡지 못한 채 떠나보내고
말았다는 사연이 그 요지라고 했다.
꽃은 여러 가지 뜻을 내포하고 있다. 가난한 그 화가에
게 꽃은 간절한 사랑 고백을 위한 매개체였다. 부처님께
서 대중 앞에 들어 보였던 그 연꽃은 진리의 상징 언어였
다. 진리와 욕망이라는 상반된 메세지의 넓은 스펙트럼
속에서 꽃이 가지는 의미는 모두에게 각각 다를 수밖에
없다.
수행자는 꽃으로 자신을 꾸며서는 안 된다는 서릿발 같
은 그 계율은 역으로 또 다른 집착을 만들었다. 그래서 문
수의 법문에 감동한 선녀가 꽃을 뿌리니 그 계울에 집착
하는 성문승들에게 역으로 꽃들이 몸에 그대로 붙어버렸
다. 이 의도하지 않는 '파계' 에 아연실색한 율법주의자들
은 온갖 신통력을 동원해 떨쳐내려고 했지만 허사였다.
그러나 그 걔율에 집착하지 않는 대승보살들의 몸에 내린
꽃들은 아이러니하게 그대로 땅바닥으로 떨어졌다. 정작
꽃은 아무 생각도 분별도 없는데 오히려 당사자들이 '오
버' 하는 분별의식을 질타하고 있다. 그야말로 '꽃도 너를
사랑하느냐? 고 되묻고 있다. 법에 대한 집착마저 벗어난
대승보살들의 몸에는 꽃잎이 붙든지 말든지 애시당초 문
제 삼지 않았기 때문이다.
그런 마음을 비운 경지는 공 空을 가장 잘 아는 수보리
존자가 보여주고 있다.
어느 날 존자께서 바위굴에서 좌선을 하고 있는데 뜬금
없이 제석천이 나타나 반야를 잘 말씀한다고 찬탄하면서
꽃을 뿌렸다. 이에 존자는 반야를 설한 적이 없다고 반문
하니 도리어 이렇게 대답하는 것이었다.
"존자께서 말씀하신 적이 없고, 저도 또한 들은 적이 없
습니다. 말한 것도 없고 들은 것도 없는 이것이 참으로 반
야를 잘 말씀하신 것이 아니겠습니까?"
이 정도의 안목이라면 꽃을 올릴만한 자격이 있고, 또
받을 자격이 있다고 할 것이다. 이럴 경우 꽃도 사실 꽃이
아니요, 받아도 받은 것이 아닌 것이다.
이런 꽃이 가지는 모든 의미를 압축적으로 보여준 것은
우두법융(牛頭法融 594ㅡ657) 선사일 것이다. 그가 우두산 유
서사幽棲寺 북쪽애 있는 바위굴에 앉아서 정진할 때 일이
다. 선사에게 새들이 온갖 꽃을 물어다주는 상서러운 일
이 종종 일어났다. 그는 이 일을 은근히 자랑스럽게 여겼
을 것이다. 그런데 사조도신(四祖道信580ㅡ651)선사가 이 광
경을 보고는 '꽃마저도 필요없는 경지' 를 한 수 제대로 가
르쳐주기 위해 몸소 찾아갔다. 그것도 모르고 우두선사는
공부하는 체 하며 의도적으로 뒤돌아보지도 않고 태연자
약하게 품을 잡고서 앉아 있자 도신스님은 그 속마음을
모두 다 알고 있다는 듯이 물었다.
"여기서 무엇을 하는가?"
"마음을 관觀합니다."
"관하는 것은 누구의 마음이며, 그 마음은 또 어떤 물건
인가?"
이 한마디에 그때까지 꽃놀이패를 즐기던 그 마음도 완
전히 없어졌다. 물론 이후에는 더 이상 새가 꽃을 물어다
주지도 않았다. 그래서 이는 뒷날 많은 납자들에게 의심
을 일으키게 하는 화두가 되었다.
"우두법융 스님이 사조도신 선사를 만나기 전에는 어쨰
서 온갖 새가 꽃을 물어다가 바쳤습니까?" 또 만난 뒤에는
왜 더 이상 꽃을 올리지 않았습니까?"
'백만 송이 장미' 라는 그 노래의 후렴도 이 질문에 대한
완전한 대답은 아니지만, 근사치의 답을 찾아낼 수 있는
빌미를 제공해 줄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.
미워하는 미워하는 미워하는 마음 없이
아낌없이 아낌없이 사랑을 주기만 할 때
맥만 송이 백만 송이 백만 송이 꽃이 되고
그립고 아름다운 내 별나라로 갈 수 잇다네
글 / 원철스님
'모두함께 꽃이되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능소화 (0) | 2012.07.06 |
---|---|
할로 죽이고 방으로 살리고 (0) | 2012.07.01 |
더위를 피해서 뭣하리! (0) | 2012.06.27 |
모란인지 작약인지 (0) | 2012.06.15 |
나무를 심는 까닭은 (0) | 2012.06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