감은사는 신라 31대 신문왕 2년(682년)에 세워진 사찰이다. 지금은 앞마당에 동서로 쌍탑이 서있고 사찰은 터만 남아 있다. 1959년 서탑을 해체수리 복원할 때 나온 사리기가 옆의 사진이다. 신라통일 이후 최초의 쌍탑이며 동해바다가 내려다보이는 언덕 위에 우아하면서도 위엄 있게 서서 하늘을 향해 상승하는 모습이다.
원래 감은사는 30대 문무왕 때 동해에 출몰하는 왜구를 불력으로 물리치기 위해 짓기 시작했는데, 문무왕이 도중에 세상을 떠나자 아들인 신문왕이 이어받아 완공한 사찰이다. 용이 돼 동해를 지킨다는 문무왕의 굳은 의지를 담은 호국의 정신과 부왕의 은혜에 감사하는 효의 의미가 서려 있다.

신문왕 시대는 이제 통일의 목표도 이루고 태평성세와 풍요로움을 구가하던 시절이다. 이 탑에서 나온 청동사리기 난간의 네 귀퉁이에 앉아서 음악을 연주하는 네 여인의 통일의 기쁨과 앞으로의 번영을 기원하는 환희의 미소가 눈에 띈다. 한 여인은 비파를 뜯고, 한 여인은 바라를 치고, 또 한 여인은 대금을 불고, 그리고 또 한 여인은 한 손을 번쩍 들고 장구를 치는데 무척이나 신나는 모습들이다. 그 사이마다 무동들이 다양한 몸짓으로 춤을 추고 있다.
신문왕이 감은사를 지은 이듬해에 작은 산 하나가 감은사 쪽으로 떠내려 오고 있었는데, 산이 거북의 모양으로 그 위에 서있는 대나무 한 그루가 낮에는 둘이 되고 밤에는 하나가 되었다. 왕이 그 이유를 물으니 용이 대답하기를 손뼉도 마주쳐야 소리가 나듯 대나무도 합쳐졌을 때 소리가 나는 법, 이것은 왕이 소리의 이치로서 천하를 다스리게 될 좋은 징조라 하였다. 이 대나무로 피리를 만들어 불면 파란을 없애주고 천하가 태평해질 것이라 하여 이를 만파식적이라 불렀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.
여기서 우리가 배울 교훈은 통일은 목적의 끝이 아니라 또 하나의 새로운 시작이라는 점이다. 바로 소통과 화합의 정신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. 여인들이 악기를 연주하며 함께 피어 오르는 아름다운 미소에서 다양성을 조화의 지혜로 승화시키는 신라인의 멋을 찾을 수 있다.
이배용 전 이화여대 총장/중앙일보
'모두함께 꽃이되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크랩] 우물가에 핀 여인들의 미소 (0) | 2013.04.26 |
---|---|
꽃대궐 봄대궐/ 원철스님 (0) | 2013.04.18 |
'문자' 를 먹고 피는 꽃, 매화/ 원철스님 (0) | 2013.03.26 |
[스크랩] ◈ 벚꽃이 진다고 바람을 탓하랴 / 원철스님 ◈ (0) | 2013.03.21 |
[스크랩] 지혜 (0) | 2013.02.02 |